암호화폐 유형

코인 종류 요약

  1. 플랫폼 코인 (메인넷 코인)
    • 정의: 자체 블록체인 네트워크(메인넷)를 보유한 코인
    • 예시: 이더리움(Ethereum), 이오스(EOS), 리플(Ripple), 스텔라(Stellar)
    • 특징: 스마트 계약과 디앱(DApp) 개발이 가능한 인프라 제공
  2. 비트코인 (Bitcoin) (??)
    • 정의: 자체 메인넷을 보유하지만 스마트 계약 기능이 없는 독립적 코인
    • 특징: 가치 저장 수단으로 주로 사용되며, 플랫폼 기능은 제한적
    • 비슷한 성격의 코인: 모나코인, 도지코인
  3. 유틸리티 토큰
    • 정의: 다른 메인넷(주로 이더리움)의 스마트 계약을 기반으로 발행된 토큰
    • 용도: 특정 플랫폼이나 서비스 내에서 사용되는 디지털 자산
    • 예시: 대부분의 ERC-20 토큰
  4. 증권형 토큰 (Security Token)
    • 정의: 주식, 채권, 부동산 등 실물 자산을 블록체인 기반 토큰으로 전환한 자산
    • 분류:
      • 증권 발행형 STO: 주식, 채권 등 금융 자산을 토큰화
      • 자산 유동화형 STO: 부동산, 미술품 등 실물 자산을 토큰화
    • 장점:
      • 소액 투자 및 유동성 확보
      • 글로벌 거래 가능
      • 스마트 계약을 통한 효율적인 거래
  5. 대체 불가능한 토큰 (NFT)
    • 정의: 각 토큰이 고유한 가치를 지니며, 다른 토큰으로 대체할 수 없는 디지털 자산
    • 용도: 디지털 아트, 게임 아이템, 수집품 등
    • 기술: 주로 이더리움의 ERC-721 표준을 사용
  6. 스테이블 코인 (Stablecoin)
    • 정의: 가격 변동성을 최소화하여 안정적인 가치를 유지하는 코인
    • 유형:
      • 법정화폐 담보형: 달러 등 실물 화폐를 담보로 발행 (예: 테더)
      • 암호화폐 담보형: 다른 암호화폐를 담보로 발행 (예: 다이)
      • 알고리즘 기반: 수요와 공급을 조절하는 알고리즘으로 가격 안정화 (예: 베이스코인)

투자 시 참고할 점

  • 코인의 유형을 이해하는 것은 투자 리스크를 줄이는 데 중요합니다.
  • 특히 증권형 토큰은 규제와 관련된 이슈가 있을 수 있으므로 주의가 필요합니다.
  • NFT와 스테이블 코인은 각각의 특성과 용도를 명확히 이해하고 접근해야 합니다.

'블록체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토큰 소각과 가격  (1) 2025.04.26
특금법 정리  (2) 2025.04.26
토큰 지분구조  (0) 2025.04.26
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투자할 때 주의해야 할 핵심 요소  (2) 2025.04.26
암호화폐 지갑의 기본 개념과 종류  (1) 2025.04.20